[프리즘]조정계수
2017-11-16 신혜권 SW/IT서비스 전문 기자
가격평가에서 저가로 투찰하면 기술평가에서 뒤처진 1~2점은 쉽게 만회한다. 기술력이 떨어지더라도 낮은 가격을 제시하면 사업자로 선정될 수 있다.
조정계수 제도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근본적 문제는 가격평가 시스템이다. 기술 비중을 높이기 위해 기술평가 비율을 90%까지 높였지만, 여전히 10%인 가격평가에서 사업자 당락이 갈린다. 기술 가격 비중을 99%대 1%로 해도 마찬가지다.
공공기관은 정부가 사업자에게 지급하기 적정하다고 책정한 예산을 절감하려 든다. 정당하게 사업자에게 지급해야 할 비용은 절감 대상이 아니다. 감사원 등 감사기관은 사업예산 과다 집행뿐 아니라 축소 집행도 감시·지적해야 한다. 사업 예산을 넘지 않는 선에서 가격평가를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가격평가를 폐지하고 기술로만 경쟁하자는 것. 그러면 사업자는 수익을 남기고 프로젝트 품질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신혜권 SW/IT서비스 전문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