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2012-03-17 온라인뉴스팀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 영역의 범위 및 주요 역할=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는 전략, 기획 단계에서 결정된 의사결정 사항을 실제로 구축 및 운영, 폐기에 이르는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전체 라이프사이클에 걸친 타임-투-마켓(Time-to-market)은 줄이고 운영단계에서의 리스크를 줄여 품질은 향상시키기 위한 영역이다. 먼저 HP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영역에서 정의하는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의 범위와 주요역할을 살펴보자.
HP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 영역은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범위를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보고 있다.
? 딜리버리(Deliver) 단계: 현업(LOB: Line of business)의 요구사항을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는 단계로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단계의 핵심 단계라고 할 수 있다.
? 운영(Run) 단계: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단계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이 다할 때까지의 전체 라이프사이클 중에서 가장 많은 기간을 차지하는 단계다. 지속적인 변경과 결함에 대한 수정 등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 폐기(Retire) 단계: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이 다한 상태를 이르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은 중단되었지만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해서는 관리되어야 하는 단계이다. HP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 영역은 위에서 설명한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에 걸쳐 다음과 같은 주요 역할을 하고자 한다.
? 예측성: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대한 딜리버리 진행 현황 및 품질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측정 가능한 KPI를 통해 추적
? 반복성: 요구사항, 테스트 시나리오, 테스트 케이스 등의 자산을 재사용하고 자동화(프로세스의 자동화 및 품질 검증의 자동화)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
? 품질: 다양한 개발 방법론(전통적인 폭포수(Waterfall) 방법론 뿐 아니라 최신 애자일 개발 방법론까지), 다양한 개발 환경(RIA, Web 2.0 등) 등에 대한 품질 보증
? 변경-대응: 요구사항, 테스트 케이스, 결함간의 연간관계 매핑 및 추적성을 통해 변경 영향에 대한 분석 및 변경 자체에 대한 강력한 통제 관리
◇HP ALM: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그 첫 번째는 라이프사이클 관리 파트이다.
이 파트는 요구사항부터 테스트 시나리오/테스트 케이스, 테스트 수행결과, 결함에 이르는 전체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을 개발 IDE 및 소스코드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추적 관리하게 된다. 이에 해당하는 HP의 솔루션은 HP ALM이라 부르며 아래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체계적인 요구사항 관리
? 비즈니스 요구사항부터 기능, 비기능 요구사항, 테스트 요구사항 등 다양한 유형의 요구사항 관리
? 요구사항간의 연관관계 및 요구사항-테스트 케이스, 요구사항-결함 간의 연관관계 관리를 통해 요구사항 변경으로 인한 영향을 시스템적으로 관리
◆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 애자일 방법론 기반 프로젝트 관리 템플릿 제공
? User Story, Sprint, 백로그, Task board 등 기본적인 애자일 방법론 관리제공
◆ 개발관리
? 개발 IDE(Eclipse, Visual Studio 등)와의 연동을 통해 개발자에게 Task 할당하고 할당된 Task 수행 결과 자동 집계
? 형상관리(소스코드 관리) 및 Build & CI 와의 연동을 통해 실질적인 개발현황 자동 집계
◆ 테스트 자산 및 프로세스 관리
? 단위, 통합, 시스템 테스트 등 다양한 유형의 테스트에 대한 자산 및 테스트 프로세스 통합 관리
? 테스트 수행 히스토리 관리
? 다양한 테스트 도구와의 연계를 통한 테스트 결과 자동 수집
◆ 결함 관리
? 결함 등록에서 종료까지 결함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통제 관리
? 결함 추적 및 분석을 통한 결함 원인 분석
◆ 대쉬보드 및 리포팅 자동화
? 사용자의 직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현황 및 품질 지수를 실시간 제공
HP는 품질 3대 요소에 해당하는 기능, 성능, 보안에 대한 품질 검증 자동화 솔루션을 모두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자동화 솔루션들은 모두 앞에서 설명한 라이프사이클 관리 시스템과 연동되어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점에서 기능, 성능, 보안 측면의 품질 지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Service Virtualization을 통해 기능 및 성능 검증 시, 이미 구축되지 않은 타 시스템과의 연계 부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함으로써 개발 초기 단계부터 외부 시스템 연계 부분에 대한 기능 검증 및 성능 측정을 가능케 하고 있다. 테스트 데이터 관리는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 준비 및 업로드를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테스트 수행을 돕는다.
HP의 다양한 품질 검증 자동화 도구는 다양한 기술기반에 대한 검증 지원 및 뛰어난 성능을 통해 업계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다.
◆ 기능 검증: 서비스 콤포넌트, GUI 화면, 엔드-투-엔드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기능 검증 제공. 테스트 자동화 수행 및 다양한 유형의 결과 검증을 통해 기능 검증을 자동화
? 업계 최대 기능 검증 자동화 지원 환경 제공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전체에 대한 기능 검증을 통해 완벽한 품질 보장
? 쉽고 빠른 자동화 환경 제공
◆ 성능 검증: 시스템을 통한 가상 사용자를 원하는 때에 원하는 방식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미리 검증하도록 함
? 업계 최대 성능 검증 자동화 지원 환경 제공
? 다양한 모니터링 기능
? 성능 이슈의 근본 원인에 대한 가시성 제공
◆ 보안 검증: 세계적으로 검증된 분석 엔진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보안 취약점을 조기에 분석하고 개발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 업계 최고의 분석 환경과 언어 지원
? 정적/동적 분석 연계 및 하이브리드 분석 지원
? 단순 Text 분석 기법을 넘어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을 채용
서보희 한국HP 부장 / bo-hee.seo@hp.com
서보희 한국HP 부장 bo-hee.seo@h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