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스나인] 차미경 기자=유난히 따뜻하다고 느꼈던 지난 겨울, 체감 뿐 아니라 실제 수치 역시 역대 최고로 높은 기온을 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지난겨울 전국 평균기온은 3.1℃(평년편차 +2.5℃)로 1973년 1973년 이후 가장 높았으며, 최고기온(8.3℃, 평년편차 +2.2℃)과 최저기온(-1.4℃, 평년편차 +2.8℃)도 가장 높아, 기후변화 속에서 이례적으로 가장 따뜻했던 겨울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12월과 2월에 추위가 있었지만 짧아서, 대부분 기간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고, 특히, 1월은 따뜻한 남풍의 잦은 유입으로 전국에 고온현상이 나타나 1973년 이후 가장 높은 기온과 가장 적은 한파일수를 기록했다.
이와 같은 고온의 원인은 시베리아 지역으로 따뜻한 남서풍이 자주 유입되면서 고온현상(평년보다 3℃ 이상 높음)이 나타나,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이 발달하지 못하면서 우리나라로 부는 찬 북서풍이 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겨울에 발달하는 극 소용돌이가 평년에 비해 강해 제트기류가 극 가까이에 형성되어 북극의 찬 공기를 가두는 역할을 했으며, 아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 우리나라 남쪽의 따뜻하고 습한 고기압의 세력이 유지되어 우리나라로 따뜻한 남풍기류가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강수의 경우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비구름에 의한 잦은 강수로 강수량(168.1㎜, 95.5퍼센타일)은 1973년 이후 세 번째로 많았으나, 기온이 높아 눈보다는 비가 주로 내려 눈이 가장 적은 겨울이었다.
우리나라 남쪽의 고기압과 중국 남부에서 발달해 접근한 저기압 사이에서 형성된 남풍으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자주 유입되어 전국(강원영동 제외)적으로 강수량은 많았으며, 이에 반해 우리나라 주변의 기온이 평년보다 매우 높았고, 약한 시베리아 고기압으로 찬 북서기류에 의한 눈구름대가 잘 만들어지지 않아 지난겨울의 적설의 경우 하위 1위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