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에서 경력을 쌓아 조기 퇴사한 후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SW 개발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정보기술산업노동조합 조사에 따르면 2004년 6.3%였던 SW 프리랜서 비중이 올해 19.4%에 달한다.

개별 차이가 크지만 프리랜서 개발자들은 보통 회사에 있을 때보다 높은 수익을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기업 프로젝트에 투입돼 실력을 인정받으면 시장에서 `몸값`이 높아져 연 5000만원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개발자도 적지 않다. 하지만 상당수는 고용불안과 수익 대비 높은 업무 강도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발주처 횡포로 대가를 제대로 못 받아도 개인 차원의 대응이 어려워 손해를 보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직원 역량 제고에 투자해 온 중소 SW기업들도 힘들기는 마찬가지다. 5년 이상 경력을 쌓은 `쓸 만한` 인재들이 회사를 그만두면서 업무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회사 내부 정보나 기술이 유출되는 것도 문제다. 최근 대기업의 SW 인력 빼가기까지 겹치면서 중소기업은 어느 때보다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한 중소 SW업체 대표는 “과거 SW기업의 핵심은 인재라는 생각에 관련 투자를 늘렸지만 이탈이 계속 늘면서 지금은 사람보다 기술 자체에 투자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며 “갈수록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는 만큼 정책적인 해결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
저작권자 © PRESS9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