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으로 확대되는 클라우드, 도입 시 충분한 검토 필요…인증 갖춘 전문기업 상담
상태바
대기업으로 확대되는 클라우드, 도입 시 충분한 검토 필요…인증 갖춘 전문기업 상담
  • 신혜권 SW/IT서비스 전문 기자
  • 승인 2017.11.22 13: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이 게임업체와 스타트업에서 대기업으로 확대된다. 클라우드는 IT경쟁력을 높이는 인프라로 인식된다. 비즈니스 민첩성과 유연성을 지원한다. 클라우드 도입 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대기업으로 확대되는 클라우드, 도입 시 충분한 검토 필요…인증 갖춘 전문기업 상담
◇클라우드로 비즈니스 경쟁력 제고

글로벌 스포츠 용품 기업 A사. 비즈니스 환경 변화로 대리점 판매시점관리(POS)시스템을 웹기반으로 교체한다. 안정성 향상을 위해 노후화된 장비와 IT인프라 정비도 요구됐다. 서버용량의 탄력적 운영과 유연한 자원을 사용하는 아마존웹서비스(AWS) 클라우드를 도입하기로 했다.

클라우드 도입은 개발 일정에 맞춰야 한다. 시스템 전환, 서비스 이행, 안정화 시 기간 단축이 필요했다. A사는 클라우드 아키텍처 디자인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과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했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각종 보안 솔루션도 성공적으로 이관했다. AWS의 데이터마이그레이션서비스(DMS)로 다운타임 1시간 내 전체 데이터를 이관했다.

현재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고 향후 추가로 다른 업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전한다. 기존 시스템과 연동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도 운영할 계획이다.

엔터테인먼트 기업 B사. 매년 연말 대규모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상식을 운영하는데 두 달 간 일시적 대량의 트래픽이 발생한다. 기존 자체 시스템 환경에서는 대용량 트래픽을 지원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용량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을 설계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도 지원한다. 서비스 가동 전 사전 스트레스 테스트 등으로 부하를 견디는 성능 테스트를 했다. 부하 증가에 따라 자동으로 인프라 자원이 확장되는 오토 스케일링 서비스 환경을 구축했다.

과도한 트래픽이 예측되는 시점에 인프라가 확장되는 비용 최적화 시스템을 갖췄다. 후속 프로젝트로 AWS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해 세계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방침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클라우드 업체 선정, 인증 확인도 방법

대기업은 기업 규모와 업무 복잡도에 따라 클라우드 도입 전략이 달라야 한다. 인프라만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다.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아키텍처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구축이 필수다. 정보시스템 업무 중요도, 서비스 연계, 통합 관점 등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업무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 연속성, 서비스준수협약(SLA) 성능, 시스템 연동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클라우드 도입은 실패한다. 도입에 필요한 선행 조건을 파악하기 전에 서비스 업체, 벤더부터 결정해서는 안 된다.

SW라이선스와 보안 등 컴플라이언스 요구사항도 고려해야 한다. 도입 후 보안 적용은 매우 어렵다. DB접근제어, 암호화 등 기술사용은 클라우드 환경에 맞춰야 한다. AWS 클라우드 서비스는 매니지드서비스프로바이더(MSP) 프로그램 인증을 받은 파트너 업체가 클라우드 도입과 운영 전문성을 갖췄다. 농심NDS, 메가존, GS네오텍 등 업체가 MSP 인증을 받았다.

대기업으로 확대되는 클라우드, 도입 시 충분한 검토 필요…인증 갖춘 전문기업 상담
김중원 농심NDS 대표는 “클라우드는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 전문기업과 상담하는 것이 좋다”면서 “AWS MSP인증이나 컴피턴시 인증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신혜권 SW/IT서비스 전문기자 hkshin@etnew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