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교수팀은 2011년 1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뇌경색으로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입원 치료받은 환자 중 증상 발생 후 6시간부터 12시간 이전에 병원에 도착한 환자, 뇌경색 점수(NIHSS)가 6점 이상인 환자 등 111명 대상으로 비교 연구했다.
MRI 검사로 '뇌 혈류가 감소해 뇌 기능이 일시 정지한 부분'과 '이미 뇌경색이 진행돼 뇌세포가 사망한 부분'을 비율로 계산해 전자가 후자보다 약 80% 이상 많은 환자 60명에 혈과 재개통 치료를 했다. 이중 42%에서 합병증이 감소하는 등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 일상생활 의존도 평가점수 확인 결과, 아무런 증상이 없는 환자 비율은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16.7%,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서 2%로 8배 이상 차이났다.
김 교수는 “혈관 재개통 치료는 뇌출혈 등 심각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경학, 신경외과학, 영상의학, 재활의학 등 검사 결과를 다학제적으로 접근하는 병원에서 치료를 권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신경과 잡지 '뇌혈관질환'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저작권자 © PRESS9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