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부산시와 경상남도는 최근 과기정통부에 대형 클라우드 연구개발(R&D) 과제 심사를 신청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부산시와 경남시가 클라우드 관련 1500억원 규모 클라우드 신규 R&D 사업 신청서를 제출했다”면서 “과기정통부 R&D 관련 부서뿐 아니라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 검토를 거쳐 최종 시행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주도 대형 클라우드 과제 추진은 올 초 한 차례 무산된 후 두 번째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지난해 말 '클라우드 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을 주제로 2100억원 규모 사업을 신청했다. 사업은 △클라우드 컴퓨팅 핵심 기술 개발(700억원대) △지역산업 기반의 클라우드 기술 개발 및 확산(500억원대) △실증센터 구축 및 실증·인증지원(700억원대) 등으로 구성했다. 지자체와 과기정통부 클라우드 담당 부서가 의욕적으로 추진했지만, 올 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EP) 사업 기술성 평가를 통과하지 못했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기술성 평가 탈락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사업 기획력'을 강화해 재도전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양 지자체는 지역 특화 사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클라우드 R&D 전략을 마련했다. △기계·부품 △교육콘텐츠 △물류·항만 등 부산과 경남이 주력하는 산업 부문을 특정했다. 이 부문 해당하는 기업이 클라우드를 이용해 매출 증대와 기술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R&D 계획을 수정했다.
최종 확정까지 넘을 고비가 많다. 과기정통부를 거쳐 KISTEP 기술성 평가, 기획재정부 경제성 평가 등을 거쳐야한다. 한 번 탈락 고배를 마셨던 KISTEP 기술성 평가를 통과하더라도 경제성 평가 문턱이 남는다. 빨라도 내년 초 이후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성 평가까지 통과하면 국내 최대 정부와 지자체 주도 클라우드 대형 과제가 될 전망이다. 2015년 9월 '클라우드발전법' 시행 후 공공 클라우드 부문은 대형 과제가 없었다. 사업 총 금액 1500억원 가운데 국비 1000억원, 지자체와 민간에서 500억 규모를 각각 조달할 계획이다. 사업이 시행되면 향후 몇 년간 국내 클라우드 업계와 기술개발 부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기술성평가, 경제성평가 등 심사가 많이 남았지만 제대로 평가 받도록 지자체 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저작권자 © PRESS9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