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나인] 서울대병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환자 및 의료진의 감염 노출을 최소화하고, 보호자가 화상으로 환자의 면회와 상담에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대면상담 플랫폼’을 개발해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온라인 대면상담 플랫폼은 병원정보시스템(HIS) 내 구축돼 다자간 화상통신 및 화면공유가 가능하다. 이를 활용해 면회가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환자 및 보호자는 의료진의 판단 하에 화상 면회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직접 소통할 수 있다.
의료진은 화면공유 기능으로 영상검사 결과나 임상관찰기록 등 전화 통화만으로는 제공할 수 없는 시각적 의료 정보를 활용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심도 있게 설명할 수 있다.
또 한 환자를 여러 과에서 진료할 경우 동시에 상담도 가능해 신속하게 최적의 환자 치료 방향을 논의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의 장점은 별도의 앱 설치 없이 HIS 내 구축돼 보안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더불어 HIS 화면공유 기능으로 검사 결과를 포함한 자세한 설명을 비롯해 채팅 및 기록 관리도 가능하다.
사용 방법 또한 간편하다. 온라인 대면상담을 개설하는 담당 의료진이 HIS 내 환자 리스트를 통해 손쉽게 상담방을 개설한 후, 참여를 원하는 협진 의료진·환자·보호자를 연동된 연락처로 초대하는 방식이다. 환자 및 보호자는 문자로 발송된 URL을 클릭해 인증 후 온라인 대면상담에 참여한다.
서울대병원은 코로나19 전담치료병동, 중환자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완료하고 10월부터 전체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실제로 이 플랫폼을 사용해 본 중환자실 환자 보호자 A씨는 “면회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를 알 수가 없어 답답했다”면서 “온라인 대면상담을 통해 환자를 직접 눈으로 보고, 의료진으로부터 환자의 상태를 자세하게 설명들을 수 있어서 안도감이 든다”고 말했다.
박도중 서울대병원 의료혁신실장은 “온라인 대면상담을 통해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공백에 대처하기 위한 플랫폼을 구축했다”면서 “환자·보호자에게는 의료 서비스 편의 향상을, 의료진에게는 업무 효율화를 가져옴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래의료에 대비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