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바이오텍 어떻게 키우나...“VC 주도 모델, 적자 상장 도입 필요”
상태바
한국 바이오텍 어떻게 키우나...“VC 주도 모델, 적자 상장 도입 필요”
  • 임한솔 기자
  • 승인 2024.06.25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이오텍 위험 분산 방안은...창업자 주도 모델에서 VC와 협력 모델로 변신
나스닥은 적자 상장 일반적...국내 특례 상장, 상폐 사례 속출할 수도

[프레스나인] 국내 바이오 벤처 생태계가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존 창업자 중심 구조가 아니라 미국과 같이 벤처캐피털(VC)이 주도하는 모델을 도입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나왔다. 임상 실패 등 바이오텍이 마주할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서다. 

바이오텍 상장 단계에서 단기간에 순이익을 요구하는 제도도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익 실현이 불투명한 바이오산업의 특성상 미국처럼 적자 상장을 자유롭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석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5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제3회 KIMCo TALK 행사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한국 바이오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을 주제로 진행됐다.

다수 바이오텍이 도전하는 신약개발은 10년 이상의 오랜 기간이 걸리고 막대한 자금(1조5000억원~2조원)이 소요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처럼 시간과 자금을 들여도 임상 진입 후보물질의 최종 성공률은 10% 미만이다.

김 연구위원은 한국 바이오텍이 이런 환경을 극복하고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신약개발의 위험 관리 ▲장기/대규모 투자 ▲주식시장의 정보 비대칭성 ▲신속한 실패 결정 등 4가지 장애물을 해결해야 한다고 봤다. 

먼저 신약개발의 위험을 관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풍부한 자금을 지닌 VC가 적극적으로 바이오텍 경영에 참여하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봤다. 기존처럼 창업자가 투자를 받아 직접 바이오텍을 경영하는 형태로는 지속성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스타트업이 300억원을 투자받아도 임상 하나를 할까말까한 수준”이라며 “미국처럼 메이저 플레이어를 VC로 두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경우 창업자가 투자를 받은 뒤에도 계속 경영권을 쥐는 사례가 드물다. 투자가 거듭될수록 VC 등 외부 투자자들 중심의 이사회가 경영을 맡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바이오텍은 이처럼 VC와 협력을 통해 임상 실패에 따른 자금 부담 최소화, 전문경영인 역량 확보 등의 이점을 얻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창업자 중심 바이오텍은 창업자 대부분이 교수라는 점에서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VC가 바이오텍 창업을 주도하고 교수 창업자는 대부분 자문역 등 비상임직만 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교육과 연구에 지장이 없을뿐더러 추가 창업의 여지가 충분한 환경이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김 연구위원은 기존 교수 중심 창업에 VC의 투자, 전문경영인 또는 창업지원조직이 결합된 창업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교수가 VC로부터 투자를 받는 한편 전문경영인을 구해 대주주를 맡기고 본인은 소수지분, 자문역을 담당하는 형태다. 

김 연구위원은 다만 한국과 미국 VC를 비교할 때 한국 VC 쪽에 바이오텍 경영 참여 역량이 부족할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제도적으로 VC가 대주주가 되기 어려운 제약이 있어 재무적 투자에 머무는 관행이 지속됐기 때문이다. 반면 미국 VC는 바이오텍 창업, 엑시트 경험자가 풍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연구위원은 바이오텍이 장기적으로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적자 상장을 가능케 하는 제도가 확립돼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나스닥에서는 주관회사 판단에 따라 적자 상장이 자유로워 1980~2023년 상장기업 9181개 중 적자기업이 42%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 섹터만 보면 1000개 기업 가운데 90%가 적자를 보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익성이 낮은 영역에도 투자가 지속되는 것은 투자자들이 유망 기업을 판단할 능력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라는 게 김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적자 상장의 길을 열어준다. 다만 실적을 기준으로 하는 상장유지 조건으로 인해 수익성이 불투명한 바이오텍의 상장폐지가 속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 연구위원은 “특례상장 바이오헬스 스타트업 중 법차손 미충족 비율이 83%에 이른다”며 “3년 내 순이익을 요구하는 제조업 마인드로는 바이오헬스를 키우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김석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25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제3회 KIMCo TALK 행사에 참석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프레스나인
김석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25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제3회 KIMCo TALK 행사에 참석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프레스나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