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 생보사 2분기 순익 곤두박질
상태바
금리인상에 생보사 2분기 순익 곤두박질
  • 최광석 기자
  • 승인 2023.08.20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개 생보사 2분기 순익 전기比 66% 감소…투자손익 -3191억
금리 상승에 FVPL 평가손익 80% 이상 축소
2023년 상반기 주요 생보사 실적 현황
2023년 상반기 주요 생보사 실적 현황

[프레스나인] 국내 주요 생명보험사들의 2분기 순익이 1분기 대비 삼분의 일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보험손익은 늘었지만 금리 인상에 따라 투자손익이 급감하며 2분기 순익 감소에 영향을 줬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 교보생명, 한화생명, 신한라이프생명, 동양생명, 미래에셋생명 등 6개 생보사들의 2분기 당기순익(별도재무제표 기준)은 총 6795억원으로 1분기 대비 66% 감소했다.

이들 보험사의 보험손익은 1조428억원으로 1분기보다 18.9% 증가했다. 한화생명의 경우 1분기 1147억원에서 2분기 1951억원으로 70.1% 성장했다. 삼성생명도 3837억원에서 4346억원으로 10% 이상 성장했다. 

하지만 투자손익(영업외 손익 제외)이 크게 줄면서 순익 감소를 주도했다. 6개 보험사의 2분기 투자손익 합은 -3191억원이다. 삼성생명은 2분기 3652억원의 투자손실을 기록, 보험손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순익이 631억원에 그쳤다. 한화생명도 1분기 2611억원이던 투자손익이 1349억원 순손실로 당기순익이 절반으로 쪼그라들었다. 1분기 대비 보험손익과 투자손익 모두 감소한 동양생명 역시 72.1%의 순익 감소를 기록했다.

새로운 회계기준 ‘IFRS9’ 시행으로 기존 ‘매도가능금융자산’에 있던 상당액이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FVPL)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데 그 평가이익이 투자손익, 나아가 순익 변화에 영향을 준다. 올 1분기에는 금리 인하 영향으로 FVPL 금융자산 평가손익이 증가하면서 주요 생보사들의 순익이 늘었다. 그러나 2분기 금리가 상승하면서 이 평가손익이 감소해 투자손익과 순익이 줄어든 것이다. 

6개 보험사의 6월 말 기준, FVPL 금융자산은 총 133조2097억원으로 1분기 말 대비 5% 감소했다. 하지만 2분기 FVPL 금융자산 평가손익은 6181억원으로 1분기 4조2919억원 대비 85.6% 쪼그라들었다. 특히 한화생명과 동양생명은 각각 -1729억원, -4억원의 FVPL 금융자산 평가손익을 기록했으며 삼성생명과 교보생명은 1분기 대비 94.7%, 85.1% 줄었다. 

김선영 한국신용평가 수석애널리스트는 “2분기 투자손익 감소는 금리 영향이 가장 크다”면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투자손익을 변화시키는 요인인데 기초 대비 기말에 조금이라도 금리가 오르면 바로 평가손실로 인식한다”고 말했다. 

한화생명 관계자도 “금리 상승으로 보유하고 있는 금융상품에 변동성이 생겨 채권평가액과 투자손익 감소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또 생보업계의 투자손익 감소가 손보업계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등 주요 5개 손해보험사의 2분기 투자손익은 7031억원으로 1분기 대비 12.6% 감소에 그쳤다. 이는 생보사와 손보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특성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김선영 수석애널리스트는 “생보사들은 보통 만기가 긴 채권을 선호하고 자산에 편입을 한다. 이에 금리 변동에 더 민감할 수밖에 없다”면서 “채권뿐 아니라 펀드 등도 공정가치를 평가하는데 이 또한 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말했다. 

금융‧실물시장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기에 FVPL 금융자산 비중이 높은 보험사를 중심으로 투자손익 변동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송미정 한국기업평가 금융1실 책임연구원은 지난 7일 발표한 ‘IFRS17/9 도입, 보험사 재무제표 분석 어떻게 바뀌나?’ 리포트에서 “시장금리 상승, 주가 하락, 대체투자 자산의 가치 하락이 큰 폭의 투자 손익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보험이익 창출력이 미흡한 회사는 투자손익이 순익을 좌우하기에, FVPL 금융자산 비중, 특히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가치가 크게 변동하는 고위험자산 비중이 높은 경우 이익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