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이통 전송·무선, 내년 통신장비업계 최대 투자처
상태바
4이통 전송·무선, 내년 통신장비업계 최대 투자처
  • 김시소 기자
  • 승인 2013.11.20 1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통신장비 시장에 제4이동통신 허가 여부가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대부분 통신사가 롱텀에벌루션(LTE) 투자를 마무리한 상황이어서 시장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제4이동통신이 진입할 경우 1조원 이상의 신규 시장이 창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글로벌 장비업체와 턴키(일괄수주계약) 방식도 가능해 수혜 대부분이 외산장비 업체에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기에 제4이동통신 사업 허가 자체가 불투명해 장비업계가 내년 상반기 사업계획을 수정할 가능성도 높다.

1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업체는 내년 사업 계획서에 제4이동통신 수주 계획을 포함시켰다.

KMI와 전략적 협업을 맺은 곳은 물론이고 그렇지 않은 곳도 기회를 엿보고 있다. 전송 장비 업체 한 사장은 “기존 통신사 투자는 거의 윤곽이 드러난 상태로 제4이동통신 허가 여부가 사업 목표 달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통신 중계기 공급사 임원 역시 “제4이동통신이 시작되면 대형 공급사에 납품하는 소형기지국(RRH) 물량 공급이 기존보다 25%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4이동통신 컨소시엄을 주도하는 KMI는 이미 삼성전자, NSN, 알카텔루슨트, 에릭슨LG, 화웨이 등 기지국 공급업체와 전략적 제휴 협약을 맺었다.

화웨이를 제외한 나머지 공급사는 KMW, 에이스테크 등 국내 중견 중소기업에서 RRH를 공급 받는다.

전송 업계도 제4이동통신 출범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제4이동통신 컨소시엄은 인터넷프로토콜(IP) 통신인 시분할 방식 롱텀에벌루션(LTE-TDD)으로 허가권을 신청하며 전송 설비에 전체 70%에 달하는 예산을 할당했다.

교환 설비를 최소화하며 IP장비에 투자를 늘린 것이다. 사업 허가가 떨어질 경우 글로벌업체들이 공급하는 기지국 물량을 제외해도 상당한 물량이 국내 업체에게 배당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송 업체들은 KMI와 협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KMI 관계자는 “IP전송 장비의 경우 국산 제품을 적극 활용한다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며 “국내 기업과 공동개발 등을 통해 수출까지 지원하겠다는 것이 제4이동통신 컨소시엄의 계획”이라고 말했다.

IP서비스 플랫폼(IMS) 등 정보처리 설비에도 1000억원 이상이 소요된다. IMS는 국내 업체들이 공급 가능한 품목 중 하나다.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기존 통신사도 새로운 영업이 가능하다. KMI는 사업 허가가 나면 기지국 간 유선 설비는 기존 통신 3사 설비를 이용한다는 방침이다. 통신사 입장에서는 대형 유선 고객을 새로 유치하는 셈이다.

통신장비 업계 관계자는 “제4이동통신이 그 어느 때보다 나아진 재무 건전성을 내세우고 있지만 여전히 업계에서는 불안한 시각이 많다”며 “자칫 장비를 공급하고 대금을 못 받는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업체의 거센 공세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제4이동통신이 허가를 득한 후 글로벌 업체의 저가 제품을 적극적으로 채택해 대량으로 공급받으면 결국 사업이 `빛 좋은 개살구`로 남을 것이란 지적이다.

통신장비업체 한 사장은 “정부가 사업권을 내준다면 허가 전 조건이 제대로 시행되는지 철저히 지켜봐야한다”며 “특히 중국 업체들이 공격적인 영업을 통해 기지국, 전송, 단말기까지 턴키로 공급할 가능성이 높아 이 경우 시장 과열과 혼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4이통 컨소시엄 2014년 투자예상 내역

자료:KMI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