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 중앙관리 솔루션은 서버에서 배포하는 파일에 대한 무결성 검증 부재와 취약한 암호화, 키관리 사용이 보안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파일 배포 기능이 있는 중앙관리 소프트웨어는 기업 내부망 대상 악성코드 유포, 기밀정보 조회·유출에 악용되기 쉬워 지속적으로 공격자 표적이 된다.
가이드에서는 취약점 해결 방안으로 중앙에서 전송한 파일 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공개키 방식(PKI) 무결성 검증 기술 사용과 에이전트 프로그램 상시 오픈 포트 제거, 암호화 파일전송, 통신 전구간 암호화 알고리즘 적용을 제시한다.

PC방 운영자는 불필요한 서버 접근을 차단하도록 방화벽을 설정해 외부 공격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내부 시스템 악성코드 감염 예방을 위해 주요 백신 제품에 적용된 `SW 원클릭 안심서비스` 등으로 운용체계, 응용프로그램 최신 보안 업데이트도 정기적으로 수행한다.

광고서버를 운영하는 미디어랩사와 매체사는 안전한 광고서버 운영을 위해 온라인 광고 신규 계약 점검과 기술적 관리적 점검이 권고된다. 신규 계약정보 허위여부 확인, 광고 페이지 링크·파일 악성여부 점검, 지속 모니터링, 보안 웅영 지침과 절차 수립·준수 등이 주요 점검 항목이다.
온라인광고를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이용자 주의도 필요하다. 컴퓨터 운용체계와 응용 프로그램 최신 보안 업데이트, 백신 프로그램 정기 점검 등 보안 수칙을 실천해야 한다. 웹 브라우저에서 온라인 광고를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KISA는 새로운 유형 취약점과 관련 침해사고 발생 시 관련 사업 자를 대상으로 사고조사와 보안조치를 진행한다. 보안 가이드 3종 개발에 앞서 취약점 점검 결과를 기반으로 보안 가이드 보안 점검 항목 등을 개발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
저작권자 © PRESS9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