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맵핑' 기술 적용 MRI로 심장질환 예후 예측
상태바
'맵핑' 기술 적용 MRI로 심장질환 예후 예측
  •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SW 전문 기자
  • 승인 2018.02.27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부터)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이승표, 이희선
(왼쪽부터)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이승표, 이희선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예후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예측하는 지표가 개발됐다.

서울대병원(원장 서창석)은 순환기내과 이승표, 이희선 교수팀이 대동맥판막 협착증 심근T1 지표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교수팀은 2011~2015년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127명 심장 MRI 정보에 'T1맵핑'을 적용했다. '심근 T1값'을 측정한 후 평균 2년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했다.

MRI는 강한 자기장 형성시 인체에서 돌아오는 자기파를 측정해 영상을 얻는다. 자기파가 돌아오는 시간은 섬유화, 염증, 경색 등으로 주변 조직 상태가 좋지 못하면 늘어나고, 반대일 경우 줄어든다. 이때 시간을 'T1값'이라고 한다. 이 값을 색상으로 표현된 영상으로 나타낸 것이 'T1맵핑'이다.

연구결과 심근 T1 값이 높을수록 환자 예후가 좋지 못했다. 값이 가장 높은 군은 42.9%가 사망했거나 심부전 악화로 응급입원을 경험했다. 값이 가장 낮은 군은 이 비율이 2.4%에 그쳤다.

연령, 증상 여부, 심근손상 정도 등 기존에 알려진 대동맥판막협착증 위험인자와 심근T1 값을 함께 분석하면 수술 후 결과도 예측 가능했다. 127명 중 대동맥판막 치환수술을 받은 환자 87명을 추가 분석했다. 수술 전 심근T1 값이 가장 높은 군에서는 수술 이후 사망, 심부전 악화로 응급인원이 4건 발생했다. 값이 가장 낮거나 중간인 군에서는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희선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대부분 퇴행성이 원인이라 예방하기 쉽지 않으며, 고령화되는 현대사회에서 환자가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슴통증, 호흡곤란, 두근거림, 실신 등 증상이 나타나면 순환기내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지원을 받았다. 미국심장학회 공식 자매지인 'JACC Cardiovasc Imaging' 최근호에 발표됐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