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회 드림업 브이월드 공간정보 아카데미에 참여한 한 여학생은 공간정보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제3회 드림업 브이월드 공간정보 아카데미가 최근 성황리 종료됐습니다. 아카데미는 전자신문과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이 마련한 공간정보 활용 소프트웨어(SW)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SW에 관심있는 중학생 30명을 선발해 3주간 매일 3시간씩 총 9시간을 교육했습니다. 수업은 국내 공간정보 서비스를 책임지는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전문 연구원이 직접 담당했습니다.
공간정보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길찾기서비스나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공간정보를 활용해 제작한 서비스입니다.

수업 둘째날에는 직접 지도 데이터를 이용해 앱을 제작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브이월드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합니다. 아이디어만 있다면 자신이 원하는 지도 앱도 제작 가능합니다. 길찾기 앱부터 위치 정보 활용 앱까지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 수업에는 브이월드 활용 사례인 '엑스레이맵'을 접했습니다. 엑스레이맵을 이용해 지역 상권을 분석했습니다. 상권분석은 실제 창업을 준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3D모델링도 실습했습니다. 평면 지도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3D모델링 기법은 최근 많은 기업이 적용하고 있습니다.
교육을 진행한 김지수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연구원은 “공간정보를 처음 접하는데도 학생 열의가 가득해 다양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었다”면서 “이번 아카데미뿐 아니라 앞으로 공간정보를 접하는 수업과 프로그램을 많이 준비할 계획이니 많은 관심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전자신문 CIOBIZ]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
저작권자 © PRESS9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