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에 평화유지군과 유사한 ‘건강유지군’ 만들자”
상태바
“UN에 평화유지군과 유사한 ‘건강유지군’ 만들자”
  • 최광석 기자
  • 승인 2023.03.17 1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민석 민주당 의원,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확대‧발전 방향 제안

[프레스나인]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를 우리나라 바이오 발전의 토대로 삼아야한단 조언이 나왔다. 일시적인 허브 운영에 그치지 말고 세계기구와 연계해 하나의 국제 브랜드로 발전시키잔 의견이다. 

이를 위해 현재의 인력 양성 역할을 넘어 전세계 인구를 위한 건강 및 보건 이슈를 선제적으로 제시‧주도해야 한단 설명이다. 현재의 정부 주도 사업 진행을 머물지 말고 기업과 학계 등이 협력해 새롭고 더 큰 아젠다를 제시, 바이오 산업 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단 것이다.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성과와 발전 방향’ 포럼에서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 

사진/프레스나인
사진/프레스나인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가 간 백신 불평등 문제를 인식하고, 우리나라를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중심 기관(training hub)으로 단독 지정했다.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이전 수혜국을 포함한 중·저소득국의 바이오인력을 대상으로 백신·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정 교육(이론·실습) 제공하는 역할이다. 

지난해엔 세계보건기구, 아시아개발은행(ADB)와 협력을 통해 중·저소득국 43개국 754명(국내 68명) 교육을 완료했다. 올해는 미주개발은행(IDB) 및 빌&멜린다게이츠재단 협력 과정 신설로 교육인원이 1000명으로 늘어난 예정이다. 

김 의원은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는 향후 한국바이오 성장사에 큰 획으로 기록될 것”이라며 “교육을 잡는 건 다 잡는 것이다. 전세계에서 바이오를 좀 한다는 사람들은 오래도록 한국을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이 새로운 비전을 가져야한다고 피력했다. 보건의료인을 비롯 정부, 기업, 대학, 병원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여한 가운데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를 확대‧발전시킬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가 임시적이고 국한적인 조직이 상시적이고 크게 갔으면 좋겠다. 한국이 바이오 분야에서 하나의 숲을 만들도록 노력해야 한다”면서 “국제연합(UN), WHO 등 세계기구와 연계해 새로운 국제 브랜드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UN에 평화유지군과 유사한 건강유지군을 만들자고 제안을 하고 싶다. 한국이 주도적으로 주장하고 분담금도 내자. 수요는 분명히 존재한다”면서 “하나의 국제기구를 만드는 게 그렇게 어렵지 않다. 그러면 본부를 서울에 둘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헬스케어 외에도 재난 대응 및 해외 원조 등의 역할을 추가해 덩치를 키워야 한다고 했다. 더불어 헬스케어 영역은 원격진료, 치과, 진단기기 등을 우리나라가 주도하고 있는 분야가 시작점이 돼야 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이 일을 정부에만 맡겨두면 절대 커질 수 없다. 정부가 멀리 보고 그라운드를 넓게 써야한다”면서 “반드시 기업과 학계, 전문가들이 함께 해야 한다. 그림을 크게, 미리 봐야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전담을 위해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 교육훈련의 중심기관을 만들겠단 것이다. 현재 전라남도 화순, 경상북도 안동, 충청북도 오송 등이 유치전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의 위상 및 거버넌스를 공고히 할 방침이다. 또 허브국과 수혜국, 국제기구, 민간재단 등 국제 네트워크를 넓히는 동시에 국내외 기업·대학·연구소·정부 등 민관 파트너십 확장 및 활성화도 병행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