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나인] 유한양행이 신약개발 벤처기업으로부터 차세대 플랫폼인 표적 단백질 분해(TPD ) 기술 기반 신약을 도입한다.
유한양행은 1일 유빅스테라퓨틱스와 전립선암 치료제에 관한 전 세계 라이선스 인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계약 규모는 계약금 50억원, 기술료(로열티) 1450억원 등 전체 1500억원에 이른다. 계약에 따라 유한양행은 해당 치료제의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전 세계 독점적 전용실시권을 갖는다.
치료제에 관해 제3자를 대상으로 라이선스 아웃 계약이 체결될 경우 계약 체결 시점의 개발 단계에 따라 유한양행과 유박스테라퓨틱스가 수익금을 차등 분배하게 된다.
이번 공시에는 유한양행이 도입한 물질의 개발명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다만 유빅스테라퓨틱스 파이프라인을 고려하면 전임상 단계인 'UBX-103'가 계약 대상으로 추정된다.
UBX-103은 전립선암 환자에서 과발현 또는 과활성화된 안드로겐 수용체를 TPD 기술을 이용해 분해함으로써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기전을 갖는다. 앞서 2023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비임상 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 유빅스테라퓨틱스는 2025년 상반기 UBX-103의 임상 1상을 신청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유빅스테라퓨틱스는 TPD 기술을 개발해 전립선암 치료제 이외에도 여러 파이프라인을 개발하는 중이다. 올해 초 재발성·불응성 B세포 림프종 치료제 'UBX-303-1'의 미국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
TPD 기술은 표적 단백질을 저해하는 것을 넘어 아예 제거함으로써 질병의 원인을 없앤다는 점에서 차세대 플랫폼으로 각광받고 있다.
유한양행은 이번 라이선스 인 계약 이전에도 TPD 기술에 지속해서 관심을 보여 왔다. 앞서 2022년 바이오 벤처 업테라와 염증 유발 단백질을 분해하는 알츠하이머병·염증성 질환 신약에 대한 기술 라이선스 및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