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 가진 말라리아, 빛으로 잡는다
상태바
내성 가진 말라리아, 빛으로 잡는다
  •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SW 전문 기자
  • 승인 2017.06.16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채승 고대 구로병원 교수
임채승 고대 구로병원 교수

김용록 연세대 교수
김용록 연세대 교수
약제 내성을 가진 말라리아를 빛을 이용해 치료하는 광역학치료법이 개발됐다. 말라리아 원인 기생충인 적혈구 내 열원충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원장 은백린)은 임채승 진단검사의학과 교수팀과 연세대 화학과 김용록 교수팀이 다중약물내성 말라리아 광 기능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광역학치료는 빛에 반응하는 이상 세포만 죽이는 치료법이다. 광과민제를 혈액에 주사한 뒤 적정 파장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빛을 받은 광과민제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게 유도해 정상적인 세포를 제외한 말라리아 병원체와 세포를 죽인다.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 나노 크기 광 기능성 나노 입자에 광과민제를 붙여 말라리아 감염 혈액에 주입한 뒤 가시광선을 조사했다. 말라리아를 가진 적혈구만 선택적으로 불활성화시켜 제거했다. 8일간 배양검사로 적혈구 내 말라리아 기생충이 박멸된 것을 확인했다.

열원충은 말라리아원충으로 척추동물 적혈구에 감염돼 열성 질환을 일으킨다. 전 세계에서 매년 1억명 이상 말라리아에 감염시켜 80만명 이상 사망하게 한다.

말라리아 치료제인 항말라리아 약제 '아르테미시닌'에 내성을 가진 다중약물내성 말라리아가 출현해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시급하다. 확산을 막을 새로운 해결책이 제시돼 의미가 크다.

임채승 교수는 “말라리아는 사람과 동물 사이에 상호 전파되는 인수 공통 감염병으로 뚜렷한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았다”라며 “광역학치료로 말라리아 퇴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3월 세계적인 과학잡지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에 게재됐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