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트시큐리티는 2019년 발생 가능한 보안위협 5가지를 선정했다.
새해 AI를 활용한 악성코드 등장을 꼽았다. 최근 AI 기술을 통해 보안 제품이 진화한다. 2019년 악성코드 분석·모니터링 방해, 다형성 악성코드 제작, 보안 솔루션 우회 등을 목적으로 공격자도 AI 기술을 활용을 예견했다.
서버 취약점을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은 내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이미 공개된 서버 취약점을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이다. 기업은 일반적으로 안정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버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거나 미루는 경향이 많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랜섬웨어 공격이 많아지면서 기업 피해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사물인터넷(IoT)확산은 또다른 공격 목표가 된다. 가정용 IoT 기기는 PC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신속한 보안패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초기 설정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공격자는 적은 노력으로 더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외 모바일, 태블릿 사용자 등을 목표로 한 스피어피싱 증가, 사이버보안 관련 다양한 정책 증가 등을 꼽았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
저작권자 © PRESS9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