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문화개선팀 신설과 제보 보호 장치로 조직 리스크 대응력 제고
<편집자주> 지속되는 금융사고와 복잡해진 리스크 환경 속에서 은행권이 내부통제 체계를 다시 설계하고 있다. 본지는 조직 구조 개편, 기술 기반 통제 장치, 책임 범위 조정 등 각 은행의 대응 방향을 짚는다.
[프레스나인] 785억원 부당대출 사태 이후 IBK기업은행이 내부통제 전반을 다시 짰다. 여신 심사 구조와 조직문화, 제보 시스템까지 손질하며 '사고 은행' 이미지를 지우려는 시도다.
사건은 일부 임직원이 허위 실적과 담보로 기업 대출을 승인하면서 시작됐다. 복수의 퇴직 직원과 친인척이 얽혀 있었고, 심사와 감리 모두에서 통제가 작동하지 않았다. 기업은행은 사고 직후 ‘IBK 쇄신 계획’을 수립하고 5개 부문, 16개 과제를 추진 중이다. 이 가운데 13개는 완료됐다.
핵심은 이해상충 차단이다. 부점장급 이상 임직원은 가족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정보는 여신 전결권 제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가족 관련 여신은 본부 심사부가 직접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여신 승인 전에는 체크리스트로 가족·퇴직자 연관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사후 감리 단계에서도 이해관계 항목을 별도 관리해 전후 통제를 유기적으로 연결했다.
여신 심사 구조 전반도 바뀌고 있다. 기업은행은 기존 방식의 보완을 넘어 근본적인 개편에 초점을 맞추고 ‘여신문화개선팀’을 신설했다. 단순한 사후 대응이 아닌, 사고 발생 가능성을 설계 단계에서부터 줄이겠다는 전략이다.
조직문화와 인사 제도에도 변화가 있다. 하반기 인사부터는 친인척 간 동일 권역 근무를 제한하고, 여신 리스크를 중심으로 인사 배치를 조정했다. 외부 제보 채널을 새로 마련하고 제보자 보호 규정을 명문화했으며, 비위 행위에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자정 기능도 끌어올렸다.
직원 인식 전환을 위한 내부 교육도 병행한다. 리더십 교육과 쇄신안 설명회, 내부 콘텐츠 등을 통해 제도의 취지를 반복 전달하며 통제 정착을 문화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금융사고 제로화를 목표로 내부통제 개편안을 현장에 정착시키고 있다”며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국민 신뢰 회복과 실물경제 지원에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