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대비 충당금 급증에도 충당금 적게 쌓은 우리은행
상태바
부실대비 충당금 급증에도 충당금 적게 쌓은 우리은행
  • 정재로 기자
  • 승인 2023.05.10 06: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은행, 1분기 대손충당금전입액 3609억원 달해, 전기대비 180% 늘려
농협, 대손충당금전입액 371%↑
신한은행, 하나은행도 전기보다 대폭 늘려 기업여신 부실 대비
우리은행, 충당금전입액 900억원 불과
(자료: 각행)
(자료: 각행)

[프레스나인] 주요 은행이 기업여신 부실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린 데 비해 우리은행이 충당금전입액을 적게 쌓아 주목된다. 부실채권 매각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에 나섰다고는 하지만, 잠재부실이 늘어나고 있어 손익관리 차원에서 충당금을 적게 쌓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은 올 1분기 여신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대손충당금전입액을 대폭 늘렸다.

국민은행은 1분기 대손충당금전입액을 전년동기 195억원 보다 대폭 늘린 3609억원으로 책정했다. 전분기 1809억원 보다도 180% 증가한 액수다. 대부분인 3334억원을 기업여신에 책정함에 따라 경기침체에 따른 기업여신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대손충당금전입비율(대손비율·CCR)은 전분기 0.14%에서 0.40%로, 기업 CCR의 경우 0.06%에서 0.69%로 수직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NPL)의 부실채권도 1분기에만 427억원을 매각했는데, 지난해 총 매각액이 137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상각한 채권은 91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0억원 늘었다.

하나은행도 1분기 대손충당금전입액을 전년도(728억원) 67% 늘린 1219억원을 정했다. 국민은행과 마찬가지로 상당부분인 967억원을 중소기업과 소호여신에 대한 충당금으로 분류했다. 특히 1분기에만 기업 부실채권 1549억원을 매각하는 등 총 1685억원을 정리했다. 여기에 소각한 여신도 전년동기 대비 52% 증가한 825억원에 달한다.

신한은행은 전년도보다 92% 늘린 1548억원의 대손충당금전입액을 쌓았다. 신한은행도 1046억원을 기업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으로 분류하면서 기업여신 부실에 대비했다. NPL매각 규모도 전년도 352억원 보다 74% 늘어난 613억원을 기록했다.

농협은행도 1분기 대손충당금전입액을 전년대비 371% 늘린 2423억원을 적립한데 이어 부실채권도 전년보다 2배 늘어난 443억원을 매각하는 등 미래손실흡수능력을 강화했다.

그렇지만 우리은행의 대손충당금전입액은 900억원으로 유일하게 1000억원을 밑돌았다. 1분기에 부실채권 등 여신 2160억원을 상각 또는 매각하며 부실관리에 나서기는 했으나, 다른 주요은행보다 자산건전성 비율 지표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충당금을 적게 쌓은 것이 아니냐는 평가가 불가피해 보인다. 우리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올해 1분기에 큰 폭으로 떨어졌지만, 잠재부실로 분류되는 요주의 여신은 늘어나고 있다. 우리은행의 가계여신 중 요주의 여신은 작년 2분기부터 큰 폭으로 늘어나기 시작해 올해 들어서도 지속적인 증가세다. 가계여신 외에 중소기업 여신 중 요주의 여신도 동반 증가하고 있다. 자영업자와 개인사업자 관련 대출에서 부실이 늘어날 수 있다는 방증이다. 우리은행 잠재부실 채권인 요주의여신은 1분기에만 10%(1901억원→2091억원) 늘었고, 연체율도 6pb(0.22%→0.28%) 상승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 불확실이 여전한 가운데 그 동안 장기간 유예된 중·소상공인 대출만기와 이자상환이 올해 종료되는 상황에서 감춰진 부실규모가 어느 수준이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은행들이 이를 대비해 선제적으로 건전성 강화해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